심리상담사2 주지화, '이토록 친밀한 배신자' 프로파일러의 방어기제 우리가 진정으로 믿고 신뢰하는 누군가에게 배신당한다면 어떤 감정이 들까요? 그 사람에게 원망과 분노를 나타내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과정인데 어떤 사람은 배신당했다는 감정을 감당하기 힘들어서 '주지화(intellectualization)'라는 방어기제를 사용합니다. 이 글에서는 유명 드라마에서 보여준 주지화의 한 가지 사례를 검토하면서 주지화가 무엇이며, 이러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사람이 가져야 할 정신 태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.✼ '이토록 친밀한 배신자' 프로파일러의 후회이 드라마의 관전 포인트는 마지막 회에 가서야 '이토록 친밀한 배신자'가 누구인지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. 드라마의 주인공인 프로파일러 장태수는 희대의 연쇄 살인마들에게 자백을 받아내는 유능한 범죄행동분석관입니다. 프로파일러는 범.. 2024. 11. 19. 억압된 기억, 심리상담사에 의해 기억이 왜곡되는가? 심리학에는 아주 오래된 한 가지 논쟁이 있는데 '억압된 기억'이라는 주제가 그러합니다. 이것은 정신분석학의 시초인 프로이트에 의해서 주장이 되었으며, 기억을 연구하는 학자들과 임상가들 사이에 '기억 전쟁'이라고 부를 정도로 뜨거운 논쟁이 되었습니다. 이 글에서는 '억압된 기억'이란 무엇이며, 심리상담사들에 의해 기억이 왜곡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.사례) 한 청각장애인 여성이 남편과 이혼하려는 문제를 상의하고자 상담을 신청하였습니다. 이 부부에게는 6살 된 딸이 있었는데 언제부터 이따금 "내 몸에 벌레가 있어요"라고 말하였습니다. 소녀의 어머니는 남편이 딸을 목욕시키면서 장난스럽게 벌레를 잡는다는 핑계로 딸의 몸을 더듬으며 몹쓸 짓을 한다는 것이었습니다. 또한 이 여성의 남편이 집에서 친구와 술을 마시.. 2024. 11. 11. 이전 1 다음